1장_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2011(손호철, 2011)
손호철. (2011).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2011』. 이매진. 1장 한국정치,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방법론적 쟁점에 대한 단상 1. 여는 글-한국정치론의 연구에 있어서 부딪치는 방법론적 문제들을 그 ‘쟁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함(22) 2. 한국정치론 - 분석 대상의 재조명-*‘한국정치론’은 ‘한국정치’를 그 연구, 분석 대상으로 하지만, ‘한국정치’란 그렇게 자명한 것은 아니다. → 분석 대상으로서의 한국정치라는 문제 (22)➀‘한국’: ‘한국’부터 그리 자명하지 않다. 하나의 사회 내지 ‘사회구성체’로서의 한국이란 ‘시간’과 ‘공간’의 결합물, 더 정확히 표현해 ‘사회적 시공간이라는 모태matrices’ 속에 각인된 사회적 관계의 총체이다. 따라..
절대적 빈곤의 종언?
빈곤의 사전적 의미는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로, 그 정의의 핵심은 ‘기본적 욕구가 무엇인지’, ‘어느 수준까지 채워지면 충족되었다고 할 수 있는지’(김태성·손병돈, 2007; 김수현 외, 2016: 22에서 재인용)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 욕구도, 충족의 기준도 인간의 자의성이 개입하는 영역이므로, 빈곤은 무척 추상적인 용어가 된다. 빈곤한 세계, 빈곤한 국가, 빈곤한 가구, 빈곤한 사람 등이 모두 명징하게 실재하고 사람들은 그것에 동의하지만, 동시에 그것의 총체로서 빈곤은 추상성의 영역에 놓여있으며 끝없는 사회적 합의의 대상이 된다. 그럼에도 빈곤은 측정되어야 하고, 판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나름의 기준들이 도입된다. 대표적인 것이 흔히 ‘절대적 빈곤(선)’과 ‘상대적 빈곤(선)’이라고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