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은 것/부르디외

(3)
『아틀라스의 발』(이상길, 2018) 들어가며, 1-3장, 8-9장 정리 [정리] 이상길. (2018). 『아틀라스의 발』. 문학과지성사. 들어가며, 1-3장, 8-9장(강조는 정리자 / *은 문장 수정) 1. 부르디외의 지적 도정 - 10년 단위의 몇 가지 국면 1) 1950년대~1960년대 초: 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을 배우고 알제리와 베아른에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수행한 지적인 수련기(39)-『독신 상태와 농민 조건』(1962): 고향인 베아른의 노총각 농민의 증가와 결혼 시장의 변화에 관한 현지조사. 알제리와 베아른 사이에 많은 유사성이 있다고 느껴, 프랑스 사회를 인류학적 시선으로 분석. 하비투스 개념을 처음 사용(Bourdieu, 2992a: 1부). (51)-1960년대 초반 릴과 파리를 오가며 베버의 종교사회학에 관한 강의를 했고, 그 과정에서 장 개념을 창안한다..
[정리] 1부 사회적 실천론을 향해 부르디외 사회학의 구조와 논리 [정리] 1부 사회적 실천론을 향해 부르디외 사회학의 구조와 논리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 (2015; 1992).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이상길 옮김. 그린비.(강조는 정리자 / *은 문장 수정)(*1부는 로익 바캉이 서술) 들어가며[-정리자] *부르디외의 기획은 사회과학을 양분시키는 고질적인 대립을 종합 내지 지양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분법을 버리기에 이르렀다. 부르디외는 실천(특히 상징권력)에 대한 통일된 정치경제학의 가능성을 부단히 역설해 왔다.(41) 이는 현상학적 접근과 구조적인 접근을 효과적으로 결합시켜 보편적인 적용 가능성을 지닌, 통합적이고 인식론적으로 일관된 사회적 탐구 양식을 만든다.(42) 부르디외는 ··· 비-데카르트적인 사회존재론에 바탕을 둔다. 그리고 발생 구조주의..
[정리] 3부 성찰적 사회학의 실천 - 파리 워크숍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정리] 3부 성찰적 사회학의 실천 - 파리 워크숍 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 (2015; 1992).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이상길 옮김. 그린비.(강조 및 소제목은 정리자 / *은 문장 수정) 연구의 핵심으로서 대상의 구성 실제로 중요한 것은 대상의 구성이다.(354) 1) 이론과 방법론의 분할이라는 인식론적 대립의 거부 대상의 구성은 ··· 가장 중요한 조사 연구 절차임에도, 특히 ‘이론’과 ‘방법론’의 대립을 둘러싸고 조직된 지배적 전통에 의해 아주 철저하게 무시되어 왔다.(359) (*탈콧 파슨스(거시, 이론)-머튼(중범위, 양자의 상호작용)-폴 라자스펠트(미시, 방법론)라는 ‘과학적’ 지주 회사) ‘이론’과 ‘방법론’의 분할은 인식론적 대립을 구축한다. 이 대립은 사실 특정한 시기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