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은 것/기타 (교육, 사회이동, 노동, 세대 등)

(2)
1장_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2011(손호철, 2011) 손호철. (2011).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2011』. 이매진. 1장 한국정치,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방법론적 쟁점에 대한 단상 1. 여는 글-한국정치론의 연구에 있어서 부딪치는 방법론적 문제들을 그 ‘쟁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함(22) 2. 한국정치론 - 분석 대상의 재조명-*‘한국정치론’은 ‘한국정치’를 그 연구, 분석 대상으로 하지만, ‘한국정치’란 그렇게 자명한 것은 아니다. → 분석 대상으로서의 한국정치라는 문제 (22)➀‘한국’: ‘한국’부터 그리 자명하지 않다. 하나의 사회 내지 ‘사회구성체’로서의 한국이란 ‘시간’과 ‘공간’의 결합물, 더 정확히 표현해 ‘사회적 시공간이라는 모태matrices’ 속에 각인된 사회적 관계의 총체이다. 따라..
시민을 발명해야 한다 중 발췌 “모든 것이 나쁘다는 게 아니라 위험하다는 겁니다. 이게 나의 요점입니다. 위험한 건 나쁜 것과 전혀 다릅니다. 모든 것이 위험하기 때문에, 우리가 언제나 할 게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나의 입장이 무관심을 초래하거나 극단적이고 비관적인 행동주의로 흐르진 않습니다.” Michel Foucault, "On the Genealogy of Ethics: An overview of Work in Progress", in the Foucault Reader, ed, Paul Rabinow (NewYork: Pantheon, 1984, 343; 바바라 크룩생크. 2014(;1999). 『시민을 발명해야 한다』(The Will to Empower: Democratic Citizens and Other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