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 것/푸코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생근. 2013. 미셸 푸코와 현대성. 나남출판. 오생근. 2013. 미셸 푸코와 현대성. 나남출판. 현재성과 생명관리권력의 통치 현재성의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의 국가화가 아니라 국가의 통치성”이란 말에서, 국가의 통치성이란 국민의 건강, 위생, 출산율, 수명, 인종 등의 문제를 국가가 관리하기 시작하는 생명관리권력의 통치방법을 의미하고, 이것은 과거와는 다른 특수한 ‘사건’으로서 현재의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비슷한 계열의 사건들은 인과관계로 연결되지 않고, 우연적으로 연결될 뿐이다. 푸코는 ‘생물학적 현대성의 문턱’은 종으로서의 인간, 즉 인구가 정치적 전략의 목표물이 되는 순간으로 정의한다.(73) 생물학적 ‘현대성의 문턱’은 권력이 생명체로서의 인구집단을 통치하면서 개인의 생명을 보호하는 후견인 역할을 하기 시작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