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65)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회적으로 낙인된 질병에 대한 언론의 보도 실태조사(김슬기·김정연, 2017) 김슬기·김정연. (2017). 사회적으로 낙인된 질병에 대한 언론의 보도 실태조사. 2017년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단체 협력사업 연구 보고서. 제1장 연구의 배경 2016년 5월 강남역 살인사건을 기점으로 각종 묻지마 범죄 사건의 원인으로 언론에서 조현병이 언급되는 횟수가 늘어나며 조현병은 범죄와 상관성이 있으며 강력범죄의 주요 원인인 것처럼 보도가 되었다. 범죄를 일으키는 매우 위협적인 요인으로 피해망상, 환청 등이 제시되어, 조현병 환자를 ‘문제를 저지를 소지가 있는 자’ 또는 ‘잠재적으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자’로 인식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을 지경이 되었다. 올해 초 발생한 인천 초등생 납치 살인사건으로 이러한 인식은 정점에 달했다.(1) 사회적으로 낙인된 특별한 질병의 경우, 여타 질병과.. 정신장애인의 대안적 접근으로서 Mad Stud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송승연, 2018) [정리 전] 송승연. (2018). 정신장애인의 대안적 접근으로서 Mad Stud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비판사회정책, 59, 297-345. RISS 논문 링크: http://www.riss.kr/link?id=A105374140 Ⅰ. 서론 한국의 정신보건법이 1995년 제정된 배경에는 두 가지 사건이 존재하고 있다. 1991년에 일어난 여의도광장 질주사건과 대구 거성관나이트 방화사건이다. 두 사건 모두 분노하고 흥분한 상태에서 발생한 범죄였을 뿐 정신질환과는 무관하였음에도, 정부는 위험한 정신질환자의 범죄를 예방한다는 목적 하에 국가적 대응책의 일환으로 정신보건법을 제정하였다(신권철, 2017). 애초 탄생에서부터 정신보건법은 사회적 안전, 치안, 격리, 통제의 역할에 치우칠 수밖에 없는 한계가 .. 논문 열람이 너무 불편해 - 학술 장의 정치경제 논문 열람이 너무 불편해 - 학술 장의 정치경제 근황 겸 불평. 결국 다섯 학기만에 논문 주제를 갈아엎었다. ‘정신장애(인)와 범죄’에 관해 쓰려고 한다. 지금은 선행연구를 수집하고 논문의 개요를 그리고 가능한 방향들을 가늠하고 있다. 어떻게 좁혀질지는 무언가를 쓰고 평가받아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이 주 후에 연구계획서를 작성해 면담하기로 하였다. 폭풍 같은 이 주를 보냈다. 새로 시작하는 마음이되 서둘러 끝내야 한다는 마음을 함께 품고 있다. 선행연구를 찾고 있다. 과거보다 더 불편해진 것 같다. 이쪽 업계의 동향과 무관하지 않다. 한국 학술시장은 극히 제약되어있고 지금보다 확장될 여지도 거의 없다. (가까운 미래에 해외 시장에서 한국어 학술자료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 고종석. 2014. 『문장』 1-2. 알마. 고종석. 2014. 『문장』 1-2. 알마. 1. 지양해야 할 것-핵심은 군더더기, 잉여표현을 제거하여 간결한 문장을 만드는 것이다. 1) 접속부사는 가능한 쓰지 않는다. 접속부사 뒤에 긴 문장이 이어질 때만 쉼표를 쓴다. 2) ‘적’은 가능한 쓰지 않는다. 적을 쓰게 되어도, ‘적인’은 쓰지 않는다. ‘적인’은 그 앞에 부사가 왔을 때만 쓴다. 3) ‘의’를 적게 쓴다. 구어에 가깝게 쓰고, ‘의’를 빼도 괜찮으면 뺀다. 4) ‘~에의’, ‘~로의’, ‘~에 있어서(의)’ 같은 겹조사는 절대 쓰지 않는다. 5) (유럽어 정관사) 관형사 ‘그’를 남용하지 않는다. 6) 동의중복 현상(동의첩어)는 기본적으로는 잉여적 표현(단어뿐만 아니라 구나 절의 수준에서도 나타남)이다. 저자는 동의첩어 또는 잉여적 표현.. 『아틀라스의 발』(이상길, 2018) 들어가며, 1-3장, 8-9장 정리 [정리] 이상길. (2018). 『아틀라스의 발』. 문학과지성사. 들어가며, 1-3장, 8-9장(강조는 정리자 / *은 문장 수정) 1. 부르디외의 지적 도정 - 10년 단위의 몇 가지 국면 1) 1950년대~1960년대 초: 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을 배우고 알제리와 베아른에서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수행한 지적인 수련기(39)-『독신 상태와 농민 조건』(1962): 고향인 베아른의 노총각 농민의 증가와 결혼 시장의 변화에 관한 현지조사. 알제리와 베아른 사이에 많은 유사성이 있다고 느껴, 프랑스 사회를 인류학적 시선으로 분석. 하비투스 개념을 처음 사용(Bourdieu, 2992a: 1부). (51)-1960년대 초반 릴과 파리를 오가며 베버의 종교사회학에 관한 강의를 했고, 그 과정에서 장 개념을 창안한다.. [정리] 1부 사회적 실천론을 향해 부르디외 사회학의 구조와 논리 [정리] 1부 사회적 실천론을 향해 부르디외 사회학의 구조와 논리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 (2015; 1992).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이상길 옮김. 그린비.(강조는 정리자 / *은 문장 수정)(*1부는 로익 바캉이 서술) 들어가며[-정리자] *부르디외의 기획은 사회과학을 양분시키는 고질적인 대립을 종합 내지 지양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분법을 버리기에 이르렀다. 부르디외는 실천(특히 상징권력)에 대한 통일된 정치경제학의 가능성을 부단히 역설해 왔다.(41) 이는 현상학적 접근과 구조적인 접근을 효과적으로 결합시켜 보편적인 적용 가능성을 지닌, 통합적이고 인식론적으로 일관된 사회적 탐구 양식을 만든다.(42) 부르디외는 ··· 비-데카르트적인 사회존재론에 바탕을 둔다. 그리고 발생 구조주의.. 사랑의 정확도와 폭력에 관한 단상 - 한강의 <채식주의자> 사랑의 정확도와 폭력에 관한 단상 - 한강의 (본문은 『채식주의자』 중 에 관해서만 썼다) 1. "채식주의자"라는 단어가 있다. 2010년대가 지평선 아래로 가라앉고 있는 지금도 쉬이 오해되는. 이 단어에 관하여, 정확히는 이 단어로 호명되는 존재에 관하여 쓴 이가 있다. '웰빙'이라는 말이 세상을 휩쓸던 2000년대 중반에. 그러나 그의 글, 는 채식주의를 지지하거나 채식주의자를 대변하려고 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는 그저 어느 날부터 죽은 생명의 사체를 먹지 않으려는 한 사람에 관하여 쓴다. 2. “꿈을 꿨어”. 꽤 오랫동안 이름조차 언급되지 않는 그녀는, 꿈을 말한다. 누군가 채식의 이유를 물을 때면, 그녀는 ‘꿈’을 말하기 위하여 입을 오므렸다. 그게 끝이었다. 사람들에겐 비이성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정리] 3부 성찰적 사회학의 실천 - 파리 워크숍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정리] 3부 성찰적 사회학의 실천 - 파리 워크숍 피에르 부르디외·로익 바캉. (2015; 1992).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이상길 옮김. 그린비.(강조 및 소제목은 정리자 / *은 문장 수정) 연구의 핵심으로서 대상의 구성 실제로 중요한 것은 대상의 구성이다.(354) 1) 이론과 방법론의 분할이라는 인식론적 대립의 거부 대상의 구성은 ··· 가장 중요한 조사 연구 절차임에도, 특히 ‘이론’과 ‘방법론’의 대립을 둘러싸고 조직된 지배적 전통에 의해 아주 철저하게 무시되어 왔다.(359) (*탈콧 파슨스(거시, 이론)-머튼(중범위, 양자의 상호작용)-폴 라자스펠트(미시, 방법론)라는 ‘과학적’ 지주 회사) ‘이론’과 ‘방법론’의 분할은 인식론적 대립을 구축한다. 이 대립은 사실 특정한 시기 과..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